CI & CD/Jenkins

Mac OS에 Jenkins 설치하기

ZzangHo 2022. 3. 4. 00:12
728x90

어제 내가 주문한 맥 미니 m1이 집에 도착하였다.

처음써보는 Mac OS이다... 생김새는 아주 영롱하다 ㅎㅎ

근데 키보드가..... 적응이 안된ㄷ....

자 Mac에서 개발을 해보기 위해 산 장비니까 언능 개발환경을 셋팅해보자.

작업할 때 편의성을 위해 Jenkins를 한번 설치해보려고 한다.

(사실은 설치 된 것만 쓰고 직접 내가 설치 및 셋팅을 해보지 않아서 테스트용으로 하려고 함..!)

 

구글링을 검색해보니 생각보다 아주 단순하게 설치가 되는 것 같다

 

방법은

 

1. Homebrew를 통해 Jenkins를 다운받으면 된다.

더보기

Homebrew란 mac 전용 패키지 관리자이다. (쉽게 여러 서비스를 설치할 수 있다.)

brew install jenkins

 

2. Jenkins 실행

다음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Jenkins를 제어 할 수 있다.

brew services start jenkins // 젠킨스 시작 
brew services stop jenkins // 젠킨스 종료 
brew services restart jenkins //젠킨스 재시작

Jenkins를 실행해주자. Jenkins의 경우 기본 포트가 8080으로 셋팅 되어 있는 것 같다.

실행이 완료 되었으면 Jenkins에 접속해보자. 로컬에서 띄웠으니 아래와 같이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된다.

 

http://localhost:8080/

 

3. Unlock & Plugin

접속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된다.

위 화면에서 나오는 경로에 파일을 열어 입력되어 있는 값을 "Administrator password"에 넣으면 된다.

 

그 다음으로는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"Install suggested plugins"를 선택한다.

그럼 아래 화면과 같이 plugin들이 설치가 된다.

그 다음 어드민 계정을 설정하는 페이지가 열리는데 계정정보를 입력하면 된다.(캡쳐를 하지 못함 ㅜ)

쭉쭉 넘기면 아래와 같이 Jenkins화면이 정상적으로 뜬다~ 짜잔